반응형
코딩면접, 코딩테스트
Q) 타입스크립트의 map파일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.
타입스크립트 코드와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매핑할때 사용되는 것이 map 파일입니다. 쉽게 얘기해서 map 파일을 이용해서 자바스크립트 소스코드와 타입스크립트 소스코드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.
소스 맵 파일(.js.map) 파일은 json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.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하면 자바스크립트파일이 생성됩니다. 또한 선택적으로 맵파일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. 컴파일에 의해 생성된 자바스크립트 코드와 그 자바스크립트 코드에 해당하는 타입스크립트의 특정 행과 열에 연결하는 정보가 map 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.
소스 맵을 사용하는 이유는 소스 맵 파일을 이용해서 개발자는 디버깅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chrome의 디버그 툴에서 자바스크립트 코드 대신 타입스크립트 코드로 디버그를 쉽게 할 수 있는 이유가 소스 map파일 덕분입니다.
소스 map을 사용하는 방법
타입스크립트 컴파일을 할 때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tsconfig.json파일의 compilerOptions의 sourceMap을 true로 설정하면 됩니다.
프로덕션 앱의 경우 map 파일
개발 시에 map파일을 활용할 수 있지만 실제 출시하기 전에는 소스코드가 쉽게 노출되게 되니 주의를 해야 합니다. 따라서 브라우저 코드를 난독화 하여 보안을 확보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소스 맵을 제외해야 합니다.
반응형
'코딩테스트 > type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테] Q12. Access Modifier 접근한정자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7.15 |
---|---|
[코테] Q11. 타입스크립트에서 함수 오버로드란? (0) | 2022.07.14 |
[코테] Q9. 타입스크립트에서 null과 undefined를 체크하는 방법 (0) | 2022.07.11 |
[코테] Q8. 타입스크립트의 getter, setter란 무엇인가요? (0) | 2022.07.11 |
[코테] Q7. 타입스크립트에서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점 (0) | 2022.07.08 |
최근댓글